교류병렬회로와 리엑턴스

September 15, 2018

임피던스는 Z의 공식은 저항과 리엑턴스를 통해 도출되고, 임피던스, 저항, 리엑턴스는 모두 $\Omega$를 쓴다.

RLC 직렬회로에서는 임피던스(Impedence), RLC병렬회로에서는 어드미턴스(Admittance)라고 부른다.

구분 교류직렬회로 교류병렬회로
저항의 이름 임피던스(Impedance) 어드미턴스(Admittance),임피던스의 역수

Z(임피던스)=$\sqrt{R(저항)^2+X(리엑턴스)^2}$

리액턴스

회로의 인덕턴스에 의해 나타나는 전륭 대한 반항이다. 유도 인덕턴스와 리액턴스 사이에는 $\frac{1}{2}\pi$ 만큼의 위상차이가 있다.

유도 리액턴스: 교류전류의 흐름에 반항하고 전류가 전압보다 늦게 하는 인덕턴스의 작용, 이것은 옴으로 측정되며 또한 문자 $X_{l}$을 기호로 쓴다.

리엑턴스(Reactance)

RLC 회로에서 코일을 통과하면 전압과 전류사이에 위상차이가 발생하는데, 이로 인한 전류의 흐름방해를 리액턴스라고 정의한다.

RLC회로에서 R,L,C만 있으면